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Le Monde Diplomatique 18th April 2020

And now get lost, France!

프랑스는 지금 사라진다.

African countries that France once saw as its backyard, some still forced to use French-controlled currencies, are rejecting their old colonial patron’s continuing control, and they suspect its motives.

아직도 프랑스가 통제하는 통화를 사용하기를 강제하는 한때 이웃으로 보아왔던 아프리카 국가들 중 일부는 그들의 오랜 식민지의 계속되는 통제를 거부하고 있고, 그들의 동기를 의심하고 있다.

 

 

A cartoon on social media late last year showed a       cockerel in the colours of the French flag pecking a sack of grain shaped like Africa. 

지난해 말 소셜미디어의 만화 하나는 프랑스 국기 색의 수탉이 아프리카와 비슷한 형태의 곡물자루를 쪼고 있는 것을 보여줬다.

 

It was popular in Africa’s Francophone countries, part of unprecedented criticism in places France used to call its backyard. 

그것은 프랑스를 이웃으로 불러왔던 곳곳에서 전례없는 비판의 부분으로 프랑스어를 사용하는 아프리카 나라들에서 유명했다.

 

There have been similar sentiments expressed in the media, public statements and meetings across Central and West Africa

비슷한 감정들이 미디어, 공개성명 그리고 중서부 아프리카 전역의 미팅들에서 표현되었다.

; shouts of ‘Down with France!’ on the streets of Bamako, Mali, during demonstrations in late 2019 and early 2020 demanding the withdrawal of troops involved in the anti-jihadist Operation Barkhane; and students ripped up a French flag in Zinder, Niger.

말리의 바마코의 거리에서 지하디스트 반대 바칸 작전을 포함에 연루된 군대철수를 요구하면서 2019년말과 2020년초 동안 프랑스 반대를 외침; 그리고 니제르(나라)의 진데르(도시)에서 프랑스 국기를 학생들이 찢었다. 

 

French officials, including President Emmanuel Macron, have spoken of a ‘misunderstanding’ or a ‘misinformation campaign’ by a rival power — blaming, but not naming, Russia. Moscow took advantage of France’s fall from favour to move in on the security market in the Central African Republic in 2018. Some misinformation seems malicious, such as faked pictures purporting to show the French army supplying jihadists in Mali with motorbikes. 

대통령 엠마누엘 마크롱 대통령을 비롯해서 프랑스는 공식적으로 경재자들에 의한 오해나 오보로 말하면서 비난했다. 그러나 러시아를 지목하지는 않았다. 2018는 중부 아프리카의 보안 시장에서 프랑스의 하락을 기회로 활용했습니다. 어떤 오보들은 오토바이를 말리에서 지하디스트들에게 프랑스 군대들이 공급하는 것으로 보이기 위한 의도를 가진 가짜사진들처럼 악의적으로 보였다.

 

The Ivorian opposition politician and former speaker of parliament Mamadou Koulibaly said in a video, ‘We’ve had enough. This is a revolt, a rejection of the French state’s hold on our authorities and, by extension, on our economies and our people’.

코트디부아르의 야당 정치인들과 의회 하원의장인 마마두 코울리발리가 비디오에서 말했습니다. ‘우리는 충분합니다. 이것은 우리의 권한을 더 나아가 경제와 국민들의 권한을 가지고 있는 프랑스를 거부하는 혁명입니다. 

This is a revolt, a rejection of the French state’s hold on our authorities and, by extension, on our economies and our peopleMamadou Koulibaly

 

The sentiments are not new, but criticism of French imperialism and the idea of Françafrique is spreading beyond activist and intellectual circles. Boubacar Boris Diop, co-author with former Malian minister Aminata Dramane Traoré of La Gloire des imposteurs (Imposters’ Glory, Philippe Rey, 2014), says this change is the result of ‘a generation coming of age which is unconcerned about what France might have meant to its elders and looks to [France] less and less.’ As (...)

이러한 감정들은 새로운 것이 아니고 활동가들과 지식인들 사회를 넘어선 프랑스 제국주의의 비판과 프랑스와 식민지 사이의 관계들에 대한 생각과 같습니다. 전 말리총리 아미타나 드라마네와 2014년에 발표한 사기꾼들의 영광, 필립 왕 공동저자인 보우바카르 보리스 디옵이 이번 기회는 프랑스가 그들의 어른들에게 어떤게 할지를 걱정하지 않고 프랑스가 점점 더 영향이 작게 보이는 세대들 때문이라고 말합니다. 

 

스페이에서 야간 중고등학교 과정을 배우면서 세계사를 다시 배웠는데 

서구의 열강들이 아프리카를 난도질 한것을 보고 

그 식민지 사업화가 아직도  남아있는 아프리카에 지대한 영향을 미치는 것을 알게 되었다.

대신 세상은 하루아침에 변하지는 않지만 조금씩 아프리카의 새로운 깨어있는 세대들이 이런것들을 조금씩이나마

바꾸려는 움직임을 보고 감동을 받았다.

원래 가지고 있던 것들을 다 그들에게 먼저 돌려줬으면 좋겠다. 프랑스야